안녕하세요 앱솔입니다.오늘은 시가총액 필터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글의 순서
잘못된 시가총액 필터
젠포트를 하면서 시가총액 필터를 사용해 보신적 있으실텐데요.대부분 소형주 종목들을 뽑기 위함일겁니다.
예를 들어 시가총액 하위 20% 종목을 뽑기 위해서
비율내림차순({시가총액(원)}) <= 20
비율(‘{시가총액(원)}’,{오름차순}) <= 20
이런식으로 사용하고 계신다면 잘못 사용하고 계신겁니다.
엥? 조건식 입력이 잘못된건가요?
아닙니다.올바르게 입력하신 것이 맞습니다. 잘못된 부분은 바로 ({시가총액(원)}) 팩터에 있습니다.
네이버 증권을 통해 시가총액 하위 종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시가총액 하위에 많은 eft들이 분포하고 있네요. 무엇이 문제이지 아시겠습니까?
비율과 순위 함수 특성 상 ETF를 포함한 모든 상장종목(보통주)을 대상으로 값을 산출하기 때문으로, 시가총액 하위 그룹에 소형 ETF도 포함되어서 산출됩니다. 시가총액 필터를 비율로 잡고 하위 20%를 하게되면 우리가 원하는 소형주 종목들이 잡히지 않고 하위 etf종목들이 필터를 방해하게 된다는 것 이에요. 물론 유니버스에서 etf는 제외했기 때문에 매수종목에 들어가지 않지만 매수종목이 적어지고 우리가 원하는 만큼의 소형주들을 이 필터로 뽑아내지 못할 수 있다는 겁니다.그래서 우리는 etf를 제외한 필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올바른 시가총액 필터
비율내림차순(‘({총발행주식수}/{총발행주식수})*{시가총액}’) <=20
{총발행주식수}팩터는 재무제표 상 값을 이용하는데, ETF종목에는 재무제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총발행주식수} 팩터 이용 시 ETF종목이 배제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일반 종목들로만 비율을 나눌 수 있으니 원하는 값이 나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안녕하세요. 앱솔님. 잘 이해를 못했는데요, 유니버스에서 etf를 제외하는 것 대비 다른 점이 있을까요?
1. etf 제외한 종목들 가운데 (유니버스 선택)
2. 시총 작은 순서대로 선택 (매수조건)
이 아니라 매수조건이 먼저 적용된 다음에 유니버스 필터가 적용된다는 말씀일까요?
안녕하세요 바다거북이님.우선 기존 시가총액 필터를 사용하든 이번에 제시해드린 필터를 사용하든 etf를 매수하지 않습니다.말씀대로 유니버스에 etf를 제외했기 떄문이죠.근데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조건식에서 etf를 제외하지 않는 일반 시가총액 필터(비율내림차순({시가총액(원)}) < 20)를 사용하면 유니버스 선택과 상관없이 총 종목에서 계산을 한다는 것입니다. 일반 시가총액 필터 ex) 총 종목 1000개 하위 20% 200개 종목 포착 ( etf 포함) 하지만 etf를 매수하지 않기 때문에 etf종목 100개 제외 남은 일반 종목100개 etf 제외 시가총액 필터 ex) 총 종목 1000개-100개(etf 종목 수) = 900개 하위 20% 180 종목 포착. 남은 일반 종목 180개 이런식으로 유니버스를 제외한다 하더라도 비율함수 자체에서는 총 종목을 계산하기 때문에 미리 조건식에서 제외를 해주면 일반종목 하위 20%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